전국 민방위 훈련 차량통제 위치 확인 (+통제시간, 대피소)
서울시 민방공 재난 긴급문자가 오발령 문자로 확인되면서 시민들이 큰 혼란을 겪었을 텐데요. 현실 민방공 경보경계, 공습가 울리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대피소 찾기 방법과 챙겨야 할 비상대비물품에 관하여 정리해 보도록 할게요. 사전에 재난행동요령을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서울시에서 발령한 경계 경보는 적의 공격이 예상될 때 알리는 민방공 경보인데요. 현실 경계경보가 발령되면 1분 동안 평탄한 사이렌소리가 울리며 공격받을 때는 3분 동안 물결치듯 사이렌 소리가 납니다.
민방공 경보가 울리면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국민재난안전포털의 행동요령을 보면 경보가 발령되는 즉시 주간일 경우, 대피할 준비를 하고 어린이와 노약자를 먼저 대피시킨 후 지하대피소로 이동하라고 합니다.
지진 대피 후
1. 가족의 상황과 부상자를 살펴보고 즉시 구조 요청을 합니다. 흔들림이 멈추면 함께 있는 가족끼리 부상이 없는지 집에 위험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부상자가 있으면 이웃과 서로 협력하여 응급처치하고 소방서119 등 구조구급기관에 신고합니다. 2. 주변의 피해 경우에 따라 귀가 여부를 결정합니다. 지진이 발생하면 라디오 및 근처에 있는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행동하며, 귀가여부를 판단합니다.
3. 가정이나 사무실로 돌아간 후에는 안전에 유의하여 주변을 확인합니다. ∙ 가정이나 사무실의 피해 상황을 확인하고, 안전이 의심된다면 전문가의 확인을 받게 하도록 합니다. ∙ 옷장이나 사무실 보관함 등의 내용물이 쏟아져 내려 부상을 입을 수도 있으므로 문을 열 때 주의합니다.
민방위 대피소 검색
우리 동네의 민방위 대피소 검색은 국민재난안전포털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메뉴를 순서대로 선택하신 후 검색을 하고자 하는 지역을 선택하여 대피소 위치 및 최대 수용인원에 대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꼭 이번 훈련이 아니더라도 미리 확인해 두시면 좋습니다. 지도 앱을 이용한 검색 또 다른 방법으로는 네이버지도나 카카오맵, 티맵 등과 같은 지도앱을 통해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진 발생시
1. 튼튼한 탁자 아래에 들어가 육체를 보호합니다. 지진으로 크게 흔들리는 시간은 길어야 12분 정도입니다. 튼튼한 탁자의 아래로 들어가 탁자 다리를 꼭 잡으며 잡고 육체를 보호합니다. 탁자 아래와 같이 피할 곳이 없을 때에는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합니다. 2. 가스와 전깃불을 차단하고 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합니다. 흔들림이 멈춘 후 당황하지 말고 화재에 대비하여 가스와 전깃불을 끕니다. 문이나 창문을 열어 언제든 대피할 수 있도록 출구를 확보합니다.
흔들림이 멈추면, 출구를 통하여 밖으로 나갑니다. 3. 집에서 나갈 때는 신발은 꼭 신고 이동합니다. ∙ 지진이 발생하면 유리 조각이나 떨어져 있는 물체 때문에 발을 다칠 수 있으니, 발을 보호할 수 있는 부츠를 신고 이동합니다.
사진 몇장 찍어주고 나니 손가락은 땡강 짤릴것만 같다.
하얀 웨딩드레스를 입은 사라오름도 우릴 반겨주지도 않고 ! 그 밤길을 걸으면서 별 볼거리 없는 진달래밭대피소 까지 걸으면서도 그래도 친구라 좋고 오만 이야기 하면서도 실실거리면서 웃어서 행복했던 걸으면서 어렸을때 이야기는 한도 끝도 없이 이어지고 우리만 알수 있는 암호처럼 동무들 이야긴 또 해도 잼있기만 합니다. ㅎㅎ 난 사실 어려서 갯가에 자랐어도 조세들고 생굴을 까보지도 않았고 소풀도 베어보지도 않고 밭에 풀도 메보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우리 친구들은 나보고 공주라고 합니다. 운동을 한탓도 있겠지만 아부진 자식들에게 그런 험한 일을 시키고 싶지 않습니다. 했다. 사실 나만 안하고 컷지 다. 하고 자랐다고 합니다. 언니 오빠들 동생들은 나만 안한 셈입니다. 젤 잼이없는 구간을 걸어서 조금은 애들이 실망할까 걱정했더만 그래도 친구라서 좋았다고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지진 대피 후
1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
민방위 대피소 검색
우리 동네의 민방위 대피소 검색은 국민재난안전포털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
민방위 대피소 검색
1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세요.
댓글